본문 바로가기

장애학101

청각장애의 원인 청각장애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각의 손상은 소리 파장을 신경적 충동으로 바꾸어 두뇌에 정보로 전달해 주는 일련의 과정 중 어느 부분에 방해를 받을 때 일어납니다. 이러한 손상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으며, 청각 체계의 어느 부분에 결함이 있는가에 따라 청력 손상의 유형이 달라집니다. 청각장애의 원인 1. 귀의 구조 귀는 매우 복잡한 신체 기관으로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나누어집니다. 1) 외이 외이는 바깥귀라고도 하며, 외부에 돌출된 귓바퀴, 즉 이개와 귀 내부의 고막, 고막까지의 통로인 외이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귓바퀴는 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하며, 고막은 소리가 닿으면 진동하는 얇은 막으로 소리의 진동을 중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중이 중이는 세 개의 작은 .. 2023. 4. 15.
청각장애의 정의 및 특성 청각장애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외관상으로는 전혀 장애인처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나 청각에 있어서의 장애는 말을 통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하므로 청각장애를 효과적으로 보완하고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키워 주기 위한 노력이 요구됩니다. 청각장애의 정의 및 특성 1. 청각장애의 정의 청각장애에 대한 정의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1) 생리학적인 관점 소리의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정도 크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청각장애는 청력역치가 36~54dB일 때를 경도, 55~69dB일 때를 중등도, 70~89dB일 때를 중도, 그리고 90dB 이상일 때를 최중도의 청각장애로 분류합니다. 이때 청력역치는 최초로 음을 탐지하는 수준을 .. 2023. 4. 14.
의사소통장애의 특성 의사소통장애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언어적 특성, 지능 및 학업 성취, 사회-정서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의사소통장애의 특성 1. 언어적 특성 언어는 자신에게 말해진 의사소통의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인 수용언어와 다른 사람에게 의미 있는 내용으로 이해되는 언어를 산출하는 표현언어로 나누어집니다. 언어 장애를 지닌 아동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자신에게 말해진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기 어려워합니다. 표현언어 기술에 있어서의 결함은 문법, 구문론, 유창성, 어휘, 따라 하기 등에서 나타나며, 수용언어 결함은 반응, 추상, 암기, 기억 등의 기술에서 나타납니다. 다음은 언어장애 아동이 흔히 보이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에 있어서.. 2023. 4. 13.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및 원인 의사소통장애의 정의와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를 잘 살펴보고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및 원인 1. 의사소통 장애의 정의 의사소통이란 생각이나 감정, 정보 등을 교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과 전달받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사람들은 상대방과 의사소통하기 위하여 말이나 언어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의사소통을 위해서 항상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몸짓, 자세, 눈 맞춤, 얼굴 표정, 머리 움직임 등의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서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의사소통 능력은 다른 인간 행동에서와 마찬가지로 사람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의사소.. 2023.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