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형별 장애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기관 및 전문의 등 자격이 필요합니다. 장애인으로 등록하기 전 장애 진단 및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내가 후천적으로 사고를 당해서 장애진단을 받아야 하거나 또는 가족 중에 장애진단받아야 하는 분이 계시다면 이 자료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소개
지체장애
1. 절단장애 : X-선 촬영시설이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 기타 지체장애 : X-선 촬영시설 등 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신경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내과(류마티스분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CRPS상병인 경우) 전문의
CRPS : 복합 통증 증후군
뇌병변장애
1.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신경외과, 신경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시각장애
1. 시력 또는 시야결손정도, 겹보임(복시)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의료기관의 안과 전문의
청각장애
1. 방음부스가 있는 청력검사실, 청력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언어장애
1.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전문의 또는 언어재활사가 배치되어 있는 의료긴관의 이비인후과,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2. 음성장애는 언어재활사가 없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포함
3. 의교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 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지적장애
1.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정신장애
1.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다만,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았다 함은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중단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2.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장애진단 직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기록을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으로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합니다.
자폐성장애
1.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장장애
1. 투석에 대한 장애진단은 장애인 등록 직전 3개월 이상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 1호에 해당하는 의사가 없을 경우 장애진단 직전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가 진단할 수 있으나 3개월 이상의 투석기록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3. 신장이식의 장애진단은 신장이식을 시술하였거나 이식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외과 또는 내과 전문의
심장장애
1.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전문의
2.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내과(순환기분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의 지속적인 진료기록 등을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합니다.
호흡기장애
1.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호흡기분과, 알레르기분과), 흉부외과, 소아청소년과, 결핵과,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간장애
1.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소화기분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2. 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 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장루, 요루 장애
1. 의료기관의 외과, 산부인과, 비뇨의학과, 내과 전문의
뇌전증 장애
1. 장애진단 직전 6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신경과, 신경외과, 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등에 알아보았습니다. 장애진단을 위해 각 영역별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으로 찾아가셔서 도움을 받을 수 있길 바랍니다. 대학병원급에 가시는 것이 가장 정확할 수 있으나 대기가 길어질 수 있으니 지역별 작은 병원들도 추천드립니다.
장애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기관 뿐만 아니라 진단을 위한 시기도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장애진단 시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천글
2023.05.11 - [장애학] -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시기 및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시기 및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
장애유형별 장애진단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병원 진료 및 치료 기록들이 필요합니다. 장애유형별로 장애진단 시기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장애 정도 심사용 진단서의 작성 기준 등을
rose-m.tistory.com
2023.05.09 - [장애학] - 장애 등급 정도 판정 기준 (목적, 적용 범위, 적용 원칙)
장애 등급 정도 판정 기준 (목적, 적용 범위, 적용 원칙)
장애 정도 판정 기준의 목적, 적용 범위, 적용 원칙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생을 살면서 한 번쯤은 직면하거나 고민하게 될 부분이 될 것 같습니다. 장애 정도 판정 기준이 궁금하셨던
rose-m.tistory.com
'장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연금 안내 및 신청방법 (0) | 2023.05.12 |
---|---|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시기 및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과 양식 (0) | 2023.05.11 |
장애 등급 정도 판정 기준 (목적, 적용 범위, 적용 원칙) (0) | 2023.05.09 |
장애인 건강주치의 사업 서비스 내용 및 이용 방법 (0) | 2023.05.07 |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서비스 이용 및 신청 방법 (0)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