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진단2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시기 및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과 양식 장애유형별 장애진단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병원 진료 및 치료 기록들이 필요합니다. 장애유형별로 장애진단 시기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장애 정도 심사용 진단서의 작성 기준 등을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장애진단을 받아야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장애유형별 진단시기 및 장애 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과 양식 목차 1. 장애유형별 진단시기 2. 장애 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과 양식 추천글 장애유형별 진단시기 1.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지적장애, 안면 장애 장애의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진단하며, 그 기준 시기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규정기간(6개월 또는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로 합니.. 2023. 5. 11. 장애유형별 장애진단을 위한 전문기관 및 전문의 소개 장애유형별 장애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기관 및 전문의 등 자격이 필요합니다. 장애인으로 등록하기 전 장애 진단 및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내가 후천적으로 사고를 당해서 장애진단을 받아야 하거나 또는 가족 중에 장애진단받아야 하는 분이 계시다면 이 자료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소개 지체장애 1. 절단장애 : X-선 촬영시설이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 기타 지체장애 : X-선 촬영시설 등 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신경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내과(류마티스분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CRPS상병인 경우) 전문의 CRPS : 복합 통증 증후군 뇌병변장애 1.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신경외과, 신경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2023. 5.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