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편의시설2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세부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기준입니다. 법률에서 규정하는 기준을 살펴보고 장애인 등을 위해 건출설계를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법률 자체가 '~가능하다', 혹은 ~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최대한 안전하고 편의를 위한 방향으로 설계하는 쪽으로 향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애인 등 편의법도 지자체마다 규정하는 강도가 다를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지자체 혹은 관할부처에 문의해 보는 것이 정확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목차 1. 장애인 · 노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이란? 2. 유효폭 및 활동공간 3. 기울기 4. 경계 5. 재질과 마감 6. 보행장애.. 2024. 1. 5.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주차단속 그것을 알려드림!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이제는 없는 곳이 없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대한 이해와 함께 배려할 수 있는 마음의 여유까지 함께 누리시는 모두가 되길 바라며 안내 시작하겠습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주차단속 그것을 알려드림! 목차 1.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법적 근거 2.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설치 면수 3.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유도 및 안내표시 4.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단속 추천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법적 근거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등편의법'이라 함) 제17조 및 「주차장법」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설치 면수 1. 노외주차장 : 주차대수 50대마다 1면 2. 부설주차장 - 설치기준 : 주차대수의 2~4% 범위 안에서.. 2023. 10. 28. 이전 1 다음